안톤 디아벨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톤 디아벨리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출판인이다. 그는 1781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주 마트제에서 태어났으며, 미하엘 하이든에게 음악을 배웠다. 1818년 악보 출판사를 창업하여 프란츠 슈베르트의 작품을 출판하는 등 출판업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디아벨리는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는데, 특히 피아노 교육용 소나티네가 한국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1819년 자신의 왈츠 주제에 대한 변주곡을 작곡하도록 여러 작곡가들에게 의뢰했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베토벤의 "디아벨리 변주곡"이 탄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계 오스트리아인 - 엘리아스 카네티
엘리아스 카네티는 불가리아 출신의 작가이자 사회학자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는 사회 비판적 소설 『현혹』, 군중 심리 분석 논문 『군중과 권력』, 회고록 3부작 등이 있다. - 이탈리아계 오스트리아인 - 프란츠 요제프 1세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48년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여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절대주의 통치를 강화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 클래식 기타 작곡가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클래식 기타 작곡가 - 아스토르 피아졸라
아르헨티나의 작곡가이자 반도네온 연주자인 아스토르 피아졸라는 누에보 탱고의 선구자로서, 전통 탱고에 재즈와 클래식 요소를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수많은 후배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81년 출생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1781년 출생 - 베르나르트 볼차노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 출신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엄밀한 수학적 증명을 추구하고 객관주의적 논리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수학에서는 중간값 정리와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철학에서는 『지식학』에서의 '명제 자체' 등의 개념으로 유명하고 후설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안톤 디아벨리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톤 디아벨리 |
출생 | 1781년 9월 5일 |
출생지 | 마트제 (현재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사망 | 1858년 4월 7일 (76세) |
사망지 | 빈 |
직업 | 음악 출판업자 편집자 작곡가 |
활동 정보 | |
장르 | 클래식 음악 |
2. 생애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주 마트제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 출판업자이다. 그의 아버지는 원래 성씨가 'Dämon|데몬de'이었으나 이탈리아식인 '디아벨리'로 바꾸었다.[5][6] 디아벨리는 어린 시절 미하엘 하이든 등에게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원래 성직자의 길을 가려 했으나 계획이 무산되자 빈으로 이주하여 피아노와 기타 교사로 활동했다.[7]
1818년 피에트로 카피와 함께 악보 출판사를 설립했고, 1824년 독립하여 자신의 출판사를 운영했다. 그는 특히 프란츠 슈베르트의 작품을 다수 출판하는 데 기여했으며,[7] 자신이 작곡한 왈츠 주제에 의한 변주곡 작곡을 당시 오스트리아 작곡가 약 50명에게 의뢰하는 '애국 예술가 협회' 프로젝트를 기획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베토벤은 독자적으로 33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진 대작 디아벨리 변주곡(Op. 120)을 작곡하여 디아벨리의 출판사를 통해 발표했으며, 이 작품은 디아벨리의 이름을 음악사에 남기는 데 크게 기여했다. 디아벨리의 출판사는 1851년 그가 은퇴한 후 안톤 슈피나에게 승계되어 계속 운영되었다.[8]
2. 1. 초기 생애 (1781-1803)
안톤 디아벨리는 1781년 오스트리아 마트제에서 태어났다. 당시 이곳은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에 속해 있었다. 아버지 니콜라우스는 작곡가였고, 원래 성은 'Dämon|데몬de'이었으나 이탈리아식인 '디아벨리'로 바꾸었다.[5][6]어린 시절 음악적 재능을 보인 그는 아버지에게 처음 음악을 배웠고, 7세부터는 미하엘보이엘른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성가대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잘츠부르크 대성당의 소년 합창단원으로 노래했으며,[7] 잘츠부르크의 카펠하우스에서 미하엘 하이든에게 음악 지도를 받았다.[7] 19세가 되기 전에 이미 6개의 미사를 포함한 몇몇 중요한 작품을 작곡하기도 했다.
원래 성직자가 되려 했던 디아벨리는 1800년 바이에른 선제후국에 있는 라이텐하슬라흐 수도원에 들어가 사제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았다.[1] 그러나 1803년 바이에른 정부가 모든 수도원을 폐쇄하면서[1] 수도원을 떠나야 했다. 이후 스승 미하엘 하이든의 권유로 빈으로 이주하여 피아노와 기타 교사로 활동하며 새로운 길을 걷게 된다.
2. 2. 빈에서의 활동과 출판업 (1803-1858)
1803년 디아벨리는 빈으로 이주하여 피아노와 기타 교습을 시작했으며, 악보 출판사에서 교정자로 일했다. 이 시기 작곡을 계속하며 악보 출판 사업을 익혔다. 1809년에는 희극 오페라 《아담 인 데어 클렘메》(Adam in der Klemme)를 작곡했다.1817년 악보 출판 사업을 시작했고, 1818년에는 피에트로 카피와 동업하여 '카피 & 디아벨리'(Cappi & Diabelli) 출판사를 설립했다. '카피 & 디아벨리'는 유명 오페라 아리아, 춤곡, 인기 있는 극장 노래 등 대중적인 곡들을 아마추어 연주자들이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편곡하여 출판하며 명성을 얻었다. 또한, 디아벨리는 프란츠 슈베르트의 재능을 알아보고 1821년 그의 가곡 마왕을 처음 출판하며 슈베르트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1823년 카피와 슈베르트 사이에 분쟁이 생겨 관계가 끝날 때까지 슈베르트의 작품을 계속 출판했다.
1819년에는 자신이 작곡한 왈츠 주제에 의한 변주곡 작곡을 당시 오스트리아 작곡가들에게 의뢰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이 공모에는 약 50명의 작곡가가 참여했으며, 프란츠 슈베르트(D. 718), 당시 11세였던 프란츠 리스트(S. 147), 카를 체르니(코다 작곡) 등이 작품을 제출했다. 이 작품들은 '애국 예술가 협회(Vaterländischer Künstlerverein)'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한편, 베토벤은 이 공동 작업 대신 독자적으로 33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진 대작 디아벨리 변주곡(Op. 120)을 작곡하여 1824년 디아벨리를 통해 출판했다. 이 작품은 디아벨리의 이름을 음악사에 남기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23년 슈베르트와의 문제 등으로 카피와 갈등을 겪은 후, 1824년 디아벨리는 카피와 결별하고 자신의 출판사인 '디아벨리 & Co.'(Diabelli & Co.)를 설립했다. 1828년 프란츠 슈베르트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디아벨리는 그의 형 페르디난트 슈베르트로부터 방대한 양의 미발표 악보를 포함한 음악 유산을 사들였다. 덕분에 디아벨리의 출판사는 슈베르트 사후 30년 넘게 계속해서 '새로운' 슈베르트 작품을 출판할 수 있었다.[5][6][7] 다만 슈베르트 생전에는 일부 작품만 출판하고 사후에도 출판을 지연시켜 일부 자필 악보(현악 5중주곡 등)가 유실되는 결과를 낳아, 슈베르트를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디아벨리의 출판사는 계속 성장하여 펜나우어, 자우어&라이스도르프, 마티아스 알타리아사 등 다른 출판사의 출판권도 확보했다.[8] 그는 1851년 은퇴하며 출판사를 칼 안톤 스피나에게 넘겼다. 디아벨리는 1858년 빈에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가 은퇴한 후 칼 안톤 스피나가 사업을 이어받았고, 디아벨리 사후에는 회사 이름을 'C.A. 스피나 포어말스 디아벨리'(C.A. Spina Vormals Diabelli)로 변경하여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많은 작품을 출판했다. 이후 1872년 회사는 프리드리히 슈라이버에게 인수되었고, 1876년 아우구스트 크란츠의 회사와 합병했으며, 1879년 크란츠가 최종적으로 회사를 인수하여 자신의 이름으로 운영했다.
3. 주요 작품
디아벨리는 오페레타 Adam in der Klemme|아담 인 데어 클레메de, 미사곡, 가곡, 그리고 다수의 피아노 및 클래식 기타 작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다. 오늘날 그의 작품 중에서는 교육용으로 쓰이는 소나티네와 같은 피아노 작품들이 주로 연주된다.
그러나 디아벨리가 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이유는 그가 작곡가로서보다는 출판업자로서 기획한 독특한 프로젝트 때문이다. 1819년, 그는 자신이 작곡한 왈츠를 바탕으로 당대 오스트리아의 주요 작곡가들에게 변주곡을 의뢰하여 모음집을 출판하고자 했다. 이 기획은 베토벤의 걸작 《디아벨리 변주곡》 탄생으로 이어졌으며, 디아벨리의 이름을 오늘날까지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3]
3. 1. 작곡
디아벨리는 Adam in der Klemme|아담 인 데어 클레메de라는 오페레타, 여러 개의 미사곡, 가곡, 그리고 다수의 피아노 및 클래식 기타 작품을 포함한 여러 고전 작품을 작곡했다. 작곡한 작품 수로 보면 그의 기타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의 피아노 포 핸즈 곡은 인기가 많다.디아벨리의 작품 중 하나인 Pleasures of Youth: Six Sonatinas|플레저스 오브 유스: 식스 소나티나스영어는 알려지지 않은 대립하는 세력 간의 갈등을 묘사하는 6개의 소나티네 모음집이다. 이 갈등은 ''포르테''에서 ''피아노''로의 날카롭고 빈번한 다이내믹 변화를 통해 암시된다. ''포르테'' 부분은 적대자를, ''피아노'' 부분은 주인공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현재는 주로 교육 목적으로 쓰이는 소나티네와 같은 피아노 작품이 가끔 연주된다. 작품 151의 4개의 소나티네 중 4번을 제외한 모든 작품이 《소나티네 앨범》 제2권에 수록되어 있다. 디아벨리는 《소나티네 앨범》 제2권에 처음 등장한 작곡가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작품 168 (7곡)이나 연탄용으로 쓰인 소나티네 작품도 다수 남아 있다.
3. 2. 디아벨리 변주곡
안톤 디아벨리가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계기는 그가 기획한 하나의 독특한 출판 프로젝트 때문이다. 1819년, 그는 홍보 목적으로 자신이 작곡한 왈츠 주제에 대한 변주곡을 당시 오스트리아의 주요 작곡가들 및 일부 외국 작곡가들에게 의뢰하여 모음집을 출판하고자 했다.[3] 이 공동 작품은 '바터랜디셔 퀸스틀러페어라인'(Vaterländischer Künstlerverein, 애국적 예술가 협회)이라는 제목의 선집으로 출판될 예정이었다.총 51명의 작곡가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베토벤은 당초 디아벨리가 요청한 단일 변주곡 대신, 33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작품을 작곡했다. 이 작품은 ''디아벨리 변주곡'' (Op. 120)이라는 제목으로 선집의 제1부로서 단독 출판되었으며[3], 오늘날 베토벤의 가장 위대한 피아노 작품 중 하나이자 변주곡 장르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베토벤을 제외한 나머지 50명의 작곡가가 제출한 변주곡들은 ''바터랜디셔 퀸스틀러페어라인''의 제2부로 출판되었다.[3] 카를 체르니는 이 제2부의 코다를 작곡하도록 의뢰받았다.[3] 제2부에 참여한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작곡가 | 비고 |
---|---|---|
1 | 이그나츠 아스마이어 | |
2 | 카를 마리아 폰 보클레트 | |
3 | 레오폴트 오이스타헤 차페크 | |
4 | 카를 체르니 | 코다도 작곡 |
5 | 요제프 체르니 | |
6 | 모리츠 폰 디트리히슈타인 | |
7 | 요제프 드렉슬러 | |
8 | 에마누엘 알로이스 푀르스터 | |
9 | 프란츠 야콥 프라이슈테틀러 | 모차르트의 제자 |
10 | 요한 밥티스트 겐스바허 | |
11 | 요제프 게리네크 | |
12 | 안톤 할름 | |
13 | 요아힘 호프만 | |
14 | 요한 에반겔리스트 홀찰카 | |
15 | 요제프 후글만 | |
16 | 요한 네포무크 훔멜 | |
17 | 안젤름 휘텐브레너 | 슈베르트의 친구 |
18 |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 | |
19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칸네 | |
20 | 요제프 케르츠코프스키 | |
21 | 콘라딘 크로이처 | |
22 |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요제프 폰 라노이 | |
23 | 막시밀리안 요제프 라이데스도르프 | |
24 | 프란츠 리스트 | S.147 (당시 8세, 체르니의 주선으로 참여) |
25 | 요제프 마이세더 | |
26 | 이그나츠 모셸레스 | |
27 | 이그나츠 프란츠 폰 모젤 | |
28 |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 | |
29 | 요제프 파니 | |
30 | 히에로니무스 파이어 | |
31 | 요한 페터 픽시스 | |
32 | 벤첼 플라히 | |
33 | 고트프리트 리에거 | |
34 | 필립 야콥 리오테 | |
35 | 프란츠 데 파울라 로저 | |
36 | 요한 밥티스트 쉥크 | |
37 | 프란츠 쇼베르레히너 | |
38 | 프란츠 슈베르트 | D.718 |
39 | 지몬 제흐터 | 슈베르트, 안톤 브루크너의 스승 |
40 | S. R. D. | 루돌프 대공 |
41 | 막시밀리안 슈타들러 | |
42 | 요제프 드 살라이 | |
43 | 얀 바츨라프 토마셰크 | |
44 | 미하엘 움라우프 | |
45 | 베드르지흐 디비슈 베버 | |
46 | 프란츠 베버 | |
47 | 카를 앙겔루스 폰 빈클러 | |
48 | 프란츠 바이스 | |
49 | 얀 마티아스 네포무크 아우구스트 비타세크 | |
50 | 얀 바츨라프 보지셰크 |
4. 참여 작곡가 목록 (바터랜디셔 Künstlerverein)
번호 | 작곡가 | 비고 |
---|---|---|
1 | 이그나츠 아스마이어 | |
2 | 카를 마리아 폰 보클레트 | |
3 | 레오폴트 오이스타헤 차페크 | |
4 | 카를 체르니 | |
5 | 요제프 체르니 | |
6 | 모리츠 폰 디트리히슈타인 | |
7 | 요제프 드렉슬러 | |
8 | 에마누엘 알로이스 푀르스터 | |
9 | 프란츠 야콥 프라이슈테틀러 | 모차르트의 제자, 레퀴엠 보필 참여 |
10 | 요한 밥티스트 겐스바허 | |
11 | 요제프 게리네크 | |
12 | 안톤 할름 | |
13 | 요아힘 호프만 | |
14 | 요한 에반겔리스트 홀찰카 | |
15 | 요제프 후글만 | |
16 | 요한 네포무크 훔멜 | |
17 | 안젤름 휘텐브레너 | 슈베르트의 친구 |
18 |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 | |
19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칸네 | |
20 | 요제프 케르츠코프스키 | |
21 | 콘라딘 크로이처 | |
22 |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요제프 폰 라노이 | |
23 | 막시밀리안 요제프 라이데스도르프 | |
24 | 프란츠 리스트 | 작품 번호 S.147 |
25 | 요제프 마이세더 | |
26 | 이그나츠 모셸레스 | |
27 | 이그나츠 프란츠 폰 모젤 | |
28 |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 | |
29 | 요제프 파니 | |
30 | 히에로니무스 파이어 | |
31 | 요한 페터 픽시스 | |
32 | 벤첼 플라히 | |
33 | 고트프리트 리에거 | |
34 | 필립 야콥 리오테 | |
35 | 프란츠 데 파울라 로저 | |
36 | 요한 밥티스트 쉥크 | |
37 | 프란츠 쇼베르레히너 | |
38 | 프란츠 슈베르트 | 작품 번호 D.718 |
39 | 지몬 제히터 | 대위법 대가, 슈베르트, 안톤 브루크너의 스승 |
40 | S. R. D. (세레니시무스 루돌푸스 둑스) | |
41 | 막시밀리안 아베 슈타들러 | |
42 | 요제프 드 살라이 | |
43 | 벤첼 요한 토마셰크 | |
44 | 미하엘 움라우프 | |
45 | 프리드리히 디오니지우스 베버 | |
46 | 프란츠 베버 | |
47 | 카를 앙겔루스 폰 빈클러 | |
48 | 프란츠 바이스 | |
49 | 얀 네포무크 마티아스 네포무크 아우구스트 비타세크 | |
50 | 얀 후고 볼지셰크 |
코다: 카를 체르니
참조
[1]
웹사이트
AllMusic.com
http://www.allmusic.[...]
[2]
웹사이트
Diabelli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3-03-18
[3]
웹사이트
Diabelli, Anton
https://www.oxfordmu[...]
2024-05-05
[4]
간행물
An Incantation of the Sirens: The Structure of Moderato Cantabile
https://www.jstor.or[...]
1975
[5]
웹사이트
Nikolaus Diabelli
https://www.sn.at/wi[...]
Salzburg Wiki
[6]
웹사이트
Oesterreichisches Musiklexikon Online
https://www.musiklex[...]
2020-03-04
[7]
문서
NDB
[8]
웹사이트
Oesterreichisches Musiklexikon Online
https://www.musiklex[...]
2006-05-15
[9]
웹사이트
AllMusic.com
http://www.allmusic.[...]
[10]
웹사이트
AllMusic.com
http://www.allmus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